이젠 우리나라도 지진으로부터 자유로울수 없다. 현재 우리나라가 지진 안전지대라는 인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역사기록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삼국시대부터 구조물 피해를 수반한 강진이 약 40회 이상 발생했고, 특히 15~17세기 동안 지진활동이 매우 활발했다고 전하는 것만 보더라도 지진 안전지대가 아닌것만은 확실하다.

역대 한반도 지진 중 4번째로 강한 지진이 태안에서 발생했다. 지난 1일 새벽 충남 태안군 서쪽100㎞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은 진도 5.1 규모로 한반도에서 지진 관측 이후 네 번째로 큰 규모였다.

이번 지진은 1978년 우리나라에서 계기관측이 시작된 이후 1978년 충북 속리산 부근과 2004년 경북 울진 동쪽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5.2의 지진에 이은 역대 세 번째 규모다. 북한을 포함하면 평안북도 의주 일대에서 1980년 발생한 규모 5.3의 지진이 한반도에서 가장 강력했다.

진도 규모 5 이상이면 약한 건물은 손상을 입을 수 있다고 한다. 특히 이번과 같이 먼 바다가 아니라 내륙에서 발생했으면 부실한 건물 같은 곳에는 피해가 있을 수도 있는 정도라고 하니 생각만해도 아찔하다.

역대 지진의 발생 규모와 피해 장소를 보면 지난 2011년 3월 11일 일본에서 진도 9.0의 강진으로 인해 1만4294명이 사망했고 재산피해만도 80조원에 이르렀으며, 2010년 2월 27일 칠레 진도 8.8(사망 7천여명 부상 1천여명), 2008년 10월 29일 파키스탄 진도 6.4(사망 166명 부상 37만 4171명), 2007년 5월 12일 중국 쓰촨성 진도 7.8(사망 8만7652명 부상 37만4천여명), 2007년 8월 16일 페루리마해역 진도 7.5(사망 514명 부상 1090명), 2006년 7월 17일 인도네시아 자바섬 진도 7.7(사망 339명) 등을 들 수 있다.

자연재난 중 가장 큰 재앙을 초래하는 지진에 대해 국가 차원의 대책은 어떠한가 짚어볼 필요가 있다. 한 통계에 따르면 전국 681만여 건축물 중 내진설계가 적용된 건축물은 5.5%인 36만여 동에 불과하다.

철도 교량 2773개 중 지진에 취약한 곳이 1269개이고, 국가 어항시설 790개 중 무려 711개가 내진설계를 하지 않았다. 원전의 경우 규모 6.5의 강진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돼 있지만, 일본 후쿠시마와 중국 쓰촨성의 지진 규모가 각각 9.0와 7.8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우리 원전도 절대 안전을 담보할 수는 없다.

특히 다중이 밀집돼 있는 시설 중 특히 우려가 되는 곳은 바로 학교다. 내진설계대로 지어진 건물은 극소수에 불과하고 대부분 내진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교육부 등이 제출한 자료를 분석해 보면, 전국 학교건물 2만148개 건물 중 내진설계가 돼 있거나 추후 보강을 해 지진에 안전한 건물은 20.6%인 4151개에 불과했다. 학교건물 내진설계가 전무한 지역별 상황(비내진율)은 전남(90.4%)이 가장 높았고 경북(90.1%), 제주(89.9%), 강원(87.8%), 충남(85.4%), 광주(83%), 전북(82.3%) 등이 전국 평균치를 웃돌았다.

또 경남(75.8%), 울산(68.3%), 경기(64.3%)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전국 공공시설물 내진율(38.4%)과 비교해도 학교건물 내진율은 약 18%가 낮은 것으로 비교됐다.

학교에 내진 건물이 적은 이유는 2005년 이전까지 건물을 지을 때 내진 설계를 해야 하는 기준이 6층 이상 또는 1만㎡ 이상이어서 대부분 학교가 제외됐기 때문이다. 결국 전국 학교의 1만5997동(79.4%) 건물이 지진에 안전하게 버티려면 보강공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진에 대해 지금까지 국가는 물론 언론에서도 가볍게 넘겨온 것은 사실이다.

지진 외에도 매년 겪어온 홍수나 폭설로 인한 자연재해를 겪고 나면 언제 그랬냐는 듯이 대비책에 소홀했다.

태안 지진발생을 계기로 자연재해에 대한 대비책을  다시한번 점검할 시점이 아닌가 한다. 이 외에도 지진에 대비 평상시 훈련을 통해 위기대처 능력을 길러 소중한 생명을 지켜야 할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
태안미래
저작권자 © 태안미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