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지역의 인구가 좀처럼 늘지 않고 있어 걱정이다.

연령별 인구구성비도 전국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로 치닫고 있을 정도니 대비책 마련이 시급하다. 특히 젊은층 인구의 유출 심화는 당장의 지역 활력과도 직결된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양질의 고용기회 부족과 교육여건의 미흡이 젊은층 유출의 원인이 되고 있어 앞으로도 상당기간 인구 감소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다분하다. 지역에는 일자리가 많지 않은데다 그나마 일자리가 있다 해도 이미 대부분이 일자리를 찾으로 대도시로 떠났고, 지역에 머물러 있는 젊은이 일지라도 정시 출퇴근하는 직장보다는 자유업을 선호하는지라 기업들은 기업들대로 구인난을 겪고 있다.

최근 충남발전연구원 임준홍 연구위원과 공주대 홍성효 교수가 공동으로 내놓은 '2040년 읍면동 인구 추계로 본 충남의 정책과제'(충남리포트 109호)에 따르면 2010년을 기준으로 지난 5년간 충남지역에서 인구가 증가한 곳은 수도권과 인접한 충남의 북부지역과 대도시인 대전과 인접한 지역이었으며 지역 간 인구격차, 농촌 지역의 인구감소현상이 심화될 것에 대비한 정책 마련의 필요성을 피력했다.

무엇보다 충남 읍면동 지역의 63.3%는 이미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을 뿐만 아니라, 수도권 인접지역과 동 지역을 제외하고는 15세 미만의 젊은 층도 많지 않다는 사실이다.

특히 가장 우려되는 지역이 우리지역 태안처럼 농촌지역이라는 결과가 나와 그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2040년까지 충남지역 총199개 읍면동을 대상으로 인구추계를 분석한 결과, 165개(82.9%) 지역에서 인구 감소가 예상되고, 특히 농촌 지역으로 분류되는 128개 면지역 중 94.1%에서 인구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다 2040년까지 2010년보다 인구가 1/4 이상 감소하는 읍면동은 150개로 75.4%를 차지하고, 무엇보다 농촌 지역의 90% 이상이 2010년보다 1/4 이상 감소가 예상됨에 따라 인구 과소화 현상은 심각한 수준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는 지적이다.

참고로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는 2030년을, 충남은 2039년을 정점으로 감소가 예상된다. 그러나 이미 도내 농촌 지역 118개 면 중 86.8%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것은 2039이전을 정점으로 인구가 감소될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인구 감소는 톱니바퀴처럼 맞아 떨어져야 할 지역내 생산 소비의 불균형을 초래해 이는 곧 지역경제의 침체를 가져올 것이다. 농.어업을 제외하면 마땅한 일자리가 없는데 지역에 남아 있을리 만무하다. 옛날에야 먹고 살기 어려워 출산 억제정책을 쓰기도 했지만 현실은 다르다.

아무리 훌륭한 건축가가 지은 튼튼한 건물도 사람이 살지 않고 오랫동안 방치하면 폐가로 변하는 것처럼 인구가 과소화된 지역 또한 죽은 도시로 변하는 것은 시간 문제이다. 타 지역에서는 인구 감소 타개책으로 나름대로의 묘안을 마련해 시행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

임산부의 경우 출산시 파격적인 양육비 지원을 한다던지, 노총각에게는 결혼자금으로 1인당 수백만원을 지원해 혼인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의 출산율이 인구유지 수준인 2.1명 아래로 떨어진게 1983년이다. 그러나 한자녀 낳기 등 인구억제 정책을 포기한 것은 1996년이다.

우리의 저출산.고령화 추세는 다른 나라와 비교해도 놀랄 정도로 너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프랑스는 65세 이상 인구가 7%에서 14%까지 가는데 115년이 걸렸다. 한국은 200년에 7%를 돌파한 후 불과 18년 만인 2018년에 14%를 넘어 고령사회로 돌입하게 된다.

인구감소가 계속될 시 세수감소에 따른 재정악화도 악화지만 지자체의 존립이 걸린 문제이다.

인구 감소가 전국적인 현상이지만 타지역보다 더욱 심각한 우리지역은 인구 감소에 따른 대비책 마련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SNS 기사보내기
태안미래
저작권자 © 태안미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